김탁구 생활일기

24 절기 뜻 은 무엇일까?

밝은미래탁구 2023. 3. 14.

우리가 흔하게 아는 24절기 라고 이야기하는데, 사실상 우리나라는 사계절 인데, 왜 24절기라고 하는것 일까?

24절기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봐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우리나라와 주변의 국가 중국, 일본 이 있는데, 사실상 이 세곳의 나라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역사가 물려있다.

 

절기 이십사절기 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 중국, 일본, 이 세나라에서 태양을 가지고 년수를 체크 했는데, 

사계절이 어느정도 뚜렷 하기 떄문에, 이걸 다시 24개의 절기 로 바꾼게 바로 24절기라고 생각하면됩니다. 

각각의 경우 보름에 한번씩 반복이 되면서, 24절기가 되는데요, 보름은 15일 로써, 한달은 평균적으로 30일 이라고 보면되기 때문에, 이처럼, 월 을 반으로 나누게 되면 절기라고 합니다. 

 

1. 입춘 ( 2월 4일 ) 

2. 우수 ( 2월 19일 ) 

3. 경칩 ( 3월 5일 ) 

4. 춘분 ( 3월 21일 )

5. 청명 ( 4월 5일 ) 

6. 곡우 ( 4월 20일 ) 

7. 입하 ( 5월 5일 ) 

8. 소만 ( 5월 21일 ) 

9. 망종 ( 6월 6일 ) 

10. 하지 ( 6월 21일 ) 

11. 소서 ( 7월 7일 )

12. 대서 ( 7월 23일 ) 

13. 입추 ( 8월 7일 ) 

14. 처서 ( 8월 23일 ) 

15. 백로 ( 9월 8일 ) 

16. 추분 ( 9월 23일 ) 

17. 한로 ( 10월 8일 ) 

18. 상강 ( 10월 23일) 

19 . 입동 ( 11월 7일 )

20. 소설 ( 11월 22일 ) 

21. 대설 ( 12월 7일 ) 

22. 동지 ( 12월 22일 ) 

23. 소한 ( 1월 5일 ) 

24. 대한 ( 1월 20일 ) 

 

대부분 이렇게, 반복적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 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을 크게 사계절로 보고, 그걸 나눠서 농업에 사용 하기 위해서 사용 중에 있으며, 

2017년 1월 1일에 중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월 과 달력을 만드는데 날씨를 보고 파악을 했다는걸 알아야 하며, 이 달력의 경우에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