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하게 아는 24절기 라고 이야기하는데, 사실상 우리나라는 사계절 인데, 왜 24절기라고 하는것 일까?
24절기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봐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우리나라와 주변의 국가 중국, 일본 이 있는데, 사실상 이 세곳의 나라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역사가 물려있다.
절기 이십사절기 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 중국, 일본, 이 세나라에서 태양을 가지고 년수를 체크 했는데,
사계절이 어느정도 뚜렷 하기 떄문에, 이걸 다시 24개의 절기 로 바꾼게 바로 24절기라고 생각하면됩니다.
각각의 경우 보름에 한번씩 반복이 되면서, 24절기가 되는데요, 보름은 15일 로써, 한달은 평균적으로 30일 이라고 보면되기 때문에, 이처럼, 월 을 반으로 나누게 되면 절기라고 합니다.
1. 입춘 ( 2월 4일 )
2. 우수 ( 2월 19일 )
3. 경칩 ( 3월 5일 )
4. 춘분 ( 3월 21일 )
5. 청명 ( 4월 5일 )
6. 곡우 ( 4월 20일 )
7. 입하 ( 5월 5일 )
8. 소만 ( 5월 21일 )
9. 망종 ( 6월 6일 )
10. 하지 ( 6월 21일 )
11. 소서 ( 7월 7일 )
12. 대서 ( 7월 23일 )
13. 입추 ( 8월 7일 )
14. 처서 ( 8월 23일 )
15. 백로 ( 9월 8일 )
16. 추분 ( 9월 23일 )
17. 한로 ( 10월 8일 )
18. 상강 ( 10월 23일)
19 . 입동 ( 11월 7일 )
20. 소설 ( 11월 22일 )
21. 대설 ( 12월 7일 )
22. 동지 ( 12월 22일 )
23. 소한 ( 1월 5일 )
24. 대한 ( 1월 20일 )
대부분 이렇게, 반복적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 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을 크게 사계절로 보고, 그걸 나눠서 농업에 사용 하기 위해서 사용 중에 있으며,
2017년 1월 1일에 중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월 과 달력을 만드는데 날씨를 보고 파악을 했다는걸 알아야 하며, 이 달력의 경우에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김탁구 생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십사절기를 만든사람은 ? (0) | 2023.03.14 |
---|---|
우수에 젖다 는 무슨 뜻일까? (0) | 2023.03.14 |
2024 수능 일정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정답 문제 보는 곳 (0) | 2023.03.12 |
갤럭시 S23 AI가 인지하는 이미지 지우개 기능 (0) | 2023.02.09 |
갤럭시 S23울트라 근접카메라 문제점 있다고?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