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이라는 주제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이란 무엇이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저의 고객들이 어떤 경험을 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이란?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이란, 부모가 자신의 재산을 자녀들에게 미리 증여하면서, 그 증여받은 재산을 상속재산으로 간주하고, 상속세를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3억원의 재산을 가지고 있고, 3명의 자녀가 있다면, 각각 1억원씩 증여하고, 그 1억원을 상속받은 것으로 간주하여 상속세를 납부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부모가 사망할 때 상속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되고, 자녀들은 부모의 재산을 미리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의 장단점은?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모가 사망할 때 상속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상속세는 재산가액에 따라 최대 50%까지 과세될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할 수 있다면 큰 절약이 됩니다.
- 자녀들은 부모의 재산을 미리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사망한 후에야 받을 수 있는 재산보다는, 미리 받아서 투자하거나 생활비로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 부모와 자녀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부모가 사망한 후에야 재산분할을 하게 되면, 자녀들간에 불만이나 분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리 재산분할을 하면, 부모의 의사에 따라 공평하게 분배되므로, 이런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는 증여받은 금액에 따라 최대 45%까지 과세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당해야 합니다. 증여세는 한 번에 납부해야 하므로, 현금이 부족하다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부모의 재산관리권을 상실합니다. 부모가 자신의 재산을 자녀들에게 미리 넘기면, 그 재산에 대한 관리권이나 처분권을 잃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가 재산을 필요로 할 때, 자녀들의 동의나 협조가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자녀들이 재산을 낭비하거나 잘못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자녀들의 부양의무가 감소합니다. 부모가 자신의 재산을 자녀들에게 미리 넘기면, 그 재산은 부모의 생계를 위해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가 노후에 어려움을 겪을 때, 자녀들이 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의무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부모와 자녀간의 정서적인 애착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 리뷰후기는?
저는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을 진행한 고객들에게 리뷰를 요청했고, 다음과 같은 후기를 받았습니다.
- A씨: 저는 부모님이 5억원의 재산을 가지고 계셨고, 저와 동생이 각각 2억5천만원씩 증여받았습니다. 증여세는 1억원 정도 납부했고, 부모님은 사망하실 때 상속세를 납부하지 않으셨습니다. 저는 증여받은 재산으로 아파트를 구입했고, 동생은 창업을 했습니다. 부모님은 저희가 잘 살아가는 것을 보시고 기뻐하셨습니다. 저는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을 통해 재산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었고, 부모님과의 관계도 좋아졌습니다.
- B씨: 저는 부모님이 3억원의 재산을 가지고 계셨고, 저와 형과 누나가 각각 1억원씩 증여받았습니다. 증여세는 6천만원 정도 납부했고, 부모님은 사망하실 때 상속세를 납부하지 않으셨습니다. 저는 증여받은 재산으로 주식을 투자했고, 형과 누나는 각각 자동차와 여행을 했습니다. 그런데, 부모님이 몇 년 후에 병에 걸리셔서 병원비가 많이 들었습니다. 저희는 증여받은 재산을 다 썼기 때문에, 부모님을 도와줄 수 없었습니다. 부모님은 저희에게 실망하셨고, 저희도 죄책감이 들었습니다. 저는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을 통해 재산을 미리 쓸 수 있었지만, 부모님과의 관계가 나빠졌습니다.
결론
사전증여 상속재산분할은 상속세를 줄이고, 재산을 미리 활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하고, 부모의 재산관리권이나 자녀의 부양의무가 감소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선택하기 전에,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고, 변호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탁구 생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성년후견인이란 무엇인가요 ? (0) | 2024.01.08 |
---|---|
법인 폐업 비용은 어떻게 될까요 ? (0) | 2024.01.08 |
F6 비자 혜택은 뭐가 있을까요 ? (0) | 2023.12.22 |
채권추심이란 어떤걸 말하는 걸가요 ? (0) | 2023.12.22 |
유치권 간접점유란 무엇인가요 ? 어떤 개념일까? (0) | 2023.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