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탁구 직장일기

항소, 상고, 항고 차이점은 어떻게 되는걸까요 ?

밝은미래탁구 2024. 3. 4.

항소, 상고, 항고: 헷갈리는 법률 용어들을 명확하게 구분하세요!

소송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항소, 상고, 항고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법률 용어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발음과 맥락 속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용어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실제 리뷰 후기를 통해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항소

1.1 정의 및 특징:

  • 항소는 1심 판결에 불복하는 경우 2심 재판을 청구하는 행위입니다.
  • 지방법원의 1심 판결에 대해 고등법원에 2차 심사를 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민사 재판뿐만 아니라 형사 재판에서도 사용됩니다.
  • 판결 전에도 항소할 수 있으며, 항소 기간은 판결서 송달 후 2주입니다.
  • 항소심에서는 1심의 사실 심리뿐 아니라 법률 적용 여부까지 심사됩니다.

1.2 실제 리뷰 후기:

"1심에서 원하는 판결을 얻지 못해서 항소를 했습니다. 2심에서는 더 많은 증거를 제출하고 변론을 진행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2. 상고

2.1 정의 및 특징:

  • 상고는 2심 판결에 불복하는 경우 3심 재판을 청구하는 행위입니다.
  • 2심 판결에 대해 대법원에 3심 재판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민사 재판과 형사 재판 모두에서 사용됩니다.
  • 상고 기간은 판결서 송달 후 2주입니다.
  • 상고심에서는 법률 적용의 적정 여부만 심사되며, 사실 심리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2.2 실제 리뷰 후기:

"2심 판결도 불복하여 상고를 진행했습니다. 3심에서는 법률 해석에 대한 논쟁이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상고가 기각되었습니다."

3. 항고

3.1 정의 및 특징:

  • 항고는 판결이 아닌 결정이나 명령에 불복하는 경우 상급 법원에 불복 신청을 하는 행위입니다.
  • 1심 재판 과정에서 내려진 결정이나 명령에 대해 불복하는 경우 사용됩니다.
  • 항고 기간은 결정이나 명령서 송달 후 2주입니다.
  • 항고심에서는 결정이나 명령의 법률 적용 여부만 심사됩니다.

3.2 실제 리뷰 후기:

"재판 과정에서 내려진 결정에 불복하여 항고를 했습니다. 항고심에서 결정이 정당하다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4. 항소, 상고, 항고의 비교

구분 항소 상고 항고
대상 1심 판결 2심 판결 판결 외 결정/명령
신청 법원 2심 법원 3심 법원 (대법원) 상급 법원
심사 범위 사실 심리 및 법률 적용 법률 적용 법률 적용
기간 판결서 송달 후 2주 판결서 송달 후 2주 결정/명령서 송달 후 2주

5. 주의 사항

  • 항소, 상고, 항고는 각각 다른 의미와 절차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올바른 용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 각 절차마다 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법률 용어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법률 전문가에게 문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 글을 통해 항소, 상고, 항고의 정확한 의미와 차이점을 이해했기를 바랍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