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탁구 생활일기

층간소음 법적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

밝은미래탁구 2023. 7. 19.

층간소음 법적기준


층간소음 법적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층간소음은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 다가구주택에서 살면서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층간소음은 주거환경의 질을 떨어뜨리고, 심각한 경우에는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렇다면 층간소음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층간소음에는 법적인 기준이 있으며, 이를 알고 있으면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층간소음의 종류와 법적기준

층간소음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구조적인 소음으로, 건물의 구조나 재료, 방음시설 등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다. 이러한 소음은 건축법에 따라 방음성능을 평가하고, 일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건축법에서는 방음성능을 평가하는 방법과 기준을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하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다른 하나는 행위적인 소음으로, 거주자의 생활습관이나 행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다. 이러한 소음은 주거환경개선법에 따라 관리하고, 일정한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주거환경개선법에서는 행위적인 소음의 종류와 시간대별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하면 과태료나 과징금이 부과된다.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층간소음을 발생시키는 자와 상담하는 것이다. 층간소음은 서로의 생활방식이나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태도로 대화를 나누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담을 할 때는 객관적인 자료나 증거를 활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상담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관할 주민센터나 구청에 신고할 수 있다. 주민센터나 구청에서는 층간소음 조사원을 파견하여 현장에서 소음을 측정하고, 법적인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태료나 과징금을 부과한다. 또한, 층간소음 조정위원회를 통해 당사자 간의 조정을 시도할 수도 있다.

만약 조정이 실패하거나 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경우에는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소송을 제기할 때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피해를 입증할 수 있는 의료진단서나 치료비 영수증 등의 자료가 필요하다. 또한, 소음의 정도와 시간대를 증명할 수 있는 소음측정기록이나 증인진술 등의 자료도 필요하다. 소송을 통해 층간소음을 중지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층간소음 예방을 위한 팁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는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층간소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팁을 참고하자.

  • 새로 이사를 갈 때는 건물의 구조나 방음시설, 주변환경 등을 잘 살펴보자. 가능하면 방음성능이 우수한 건물이나 층을 선택하자.
  • 집에서는 바닥에 카펫이나 러그를 깔거나, 벽에 방음패널이나 커튼을 달아주자. 이렇게 하면 소음의 전달을 줄일 수 있다.
  • 생활습관이나 행동에 주의하자. 특히, 밤에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악이나 TV, 세탁기, 청소기 등의 사용을 자제하자. 또한, 발걸음이나 문닫기, 가구 옮기기 등에도 조심하자.
  • 층간소음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다면, 상대방과 친절하고 배려있게 대화하자.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로 문제를 해결하자.

층간소음은 우리 모두가 겪을 수 있는 문제이다. 층간소음에 대해 법적인 기준과 해결방법을 알고 있으면,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