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탁구 생활일기

자녀 현금 증여 방법은 어떻게 되는걸까 ?

밝은미래탁구 2024. 2. 19.

자녀 현금 증여 방법

자녀에게 현금을 증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세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장단점과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1. 증여세를 내고 증여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증여세를 내고 현금을 증여하는 것입니다. 증여세는 증여한 금액에 따라 다르게 부과되며,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면제액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1억원을 증여할 경우, 면제액은 2천만원이므로 8천만원에 대해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율은 10%부터 50%까지 단계적으로 적용되며, 이 경우에는 약 2천만원의 증여세가 발생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현금을 바로 전달할 수 있고, 증여자와 수증자의 재산관계가 명확해진다는 것입니다. 단점은 증여세가 부담스럽고, 증여한 금액이 자녀의 재산으로 인정되어 다른 법률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대출 후 상환받기

두 번째 방법은 자녀에게 현금을 대출하고, 나중에 상환받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되지만, 대출과 상환에 관한 계약서를 작성하고, 시장이자율과 비슷한 이자를 받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인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1억원을 대출하고, 연 5%의 이자를 받는다면, 매년 500만원의 이자소득이 발생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증여세를 절약할 수 있고, 자녀가 현금을 필요로 할 때 지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단점은 계약서를 작성하고 이자를 받아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자녀가 상환하지 못할 경우 부모의 손실이 될 수 있다는 위험이 있습니다.

3. 신탁계약을 통해 운용하기

세 번째 방법은 자녀를 수익자로 하는 신탁계약을 체결하고, 현금을 신탁재산으로 운용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도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되지만, 신탁계약을 작성하고, 신탁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또한, 신탁재산은 신탁기간 동안 자녀가 직접 사용할 수 없으며, 신탁기간이 만료되면 자동으로 자녀의 재산으로 전환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1억원을 신탁재산으로 운용하고, 연 10%의 수익률을 달성한다면, 매년 1천만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이 수익은 자녀가 사용할 수 없고, 신탁기간이 10년이라면 10년 후에 2억6천만원이 자녀의 재산으로 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증여세를 절약할 수 있고, 현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단점은 신탁계약을 작성하고 신탁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비용과, 자녀가 현금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