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죄 민사 공소시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기죄는 형법 제347조에 의해 처벌되는 범죄로,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을 취득하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사기죄의 공소시효는 형사소송법 제249조에 따라 법정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사기죄의 법정형은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므로, 공소시효는 10년입니다.
단, 2007년 이전의 사건은 공소시효가 7년이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해당하는 경우는 공소시효가 15년입니다.
사기죄의 민사 소송에서는 손해배상청구권과 대여금채권이 있습니다. 손해배상청구권은 사기로 인해 입은 손해를 배상받기 위한 권리로, 민법 제766조에 따라 손해가 발생한 때로부터 3년이 지나면 소멸됩니다.
대여금채권은 사기로 인해 취득한 재물을 반환하기 위한 권리로, 민법 제157조에 따라 채권이 성립한 때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소멸됩니다.
따라서 사기죄의 민사 공소시효는 손해배상청구권과 대여금채권의 성질과 기산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사기죄 피해자는 형사 공소시효와 민사 소멸시효를 잘 구분하여 피해구제를 신속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탁구 생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저당권 말소비용은 어떻게 될까? (0) | 2023.04.28 |
---|---|
국가보훈대상자 뜻은 어떻게 될까? (0) | 2023.04.28 |
고소장 접수방법은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3.04.27 |
채무자가 돈을 안갚 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3.04.27 |
민사소송 판결 불이행을 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