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탁구 직장일기

부동산 증여세 신고 서류는 뭐가 필요할까?

보그리타 2023. 5. 3.

 

부동산 증여세 신고 서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증여세란 부동산을 무상으로 취득한 경우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부동산 증여세는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부동산 증여세 신고를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1.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증여재산 공제액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2. 증여계약서 또는 증여사실 확인 증빙서류: 부동산을 증여한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부동산을 증여하는 경우에는 증여등기를 하기 위해 증여계약서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법무사가 작성해 줍니다. 부동산의 명의가 변경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등기사항전부증명서도 제출해야 합니다. 현금이나 예금을 증여한 경우에는 통장사본이나 예금이체증빙 등을 제출합니다.

 

3. 증여재산가산액에 대한 증여세 신고내역: 과거 10년 이내에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가액의 합계액이 1천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그 금액을 합산해서 신고해야 합니다. 과거에 증여받은 재산의 신고내역을 알아야 정확한 세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4. 채무잔액증명서, 전월세 계약서 등: 부동산의 평가에 관련된 서류입니다. 부동산의 평가는 시가에 의해 하며, 단독주택이나 다가구주택, 빌딩 등의 경우에는 보증금과 월세로 환산한 금액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여를 받으면서 증여재산에 대한 채무를 인수한 경우 그 채무에 대한 입증서류도 필요합니다.

 

5. 감정평가서 및 감정평가비용 영수증: 시가에 해당하는 매매사례가액으로 평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감정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감정평가를 한 경우에는 감정평가 내용을 제출해야 하며, 감정평가비용은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증여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으며, 신고 후 부속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부동산 증여세 신고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으므로, 증여세금신고 전문으로 할 수 있는 분들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 추천 글